반응형

데이터백업 3

#3 NAS란

Network Attached Storage 저장장치 + 네트워크 데이터 보관에 중점을 둔 서버 장비 목적 네트워크 원격 저장소의 개념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. NAS를 구축하는 사용자들의 주요목적으로는 사진, 동영상, 자료 백업, 외부에서 자료 조회, 동영상 스트리밍 등이 있다. 또한 제조사별로 NAS에서 사용가능한 서비스들을 제공한다. 이 서비스를 활용하면, 개발없이 간단하게 위 목적에 맞는 형태의 서비스로 사용 가능하다. 요약하자면 간편한 서비스 구성 간편한 데이터 공유 데이터 중앙집중화 가능 NAS 관련 디테일들 베이와 RAID NAS를 검색하면 1 베이 2 베이 4 베이 등 용어를 볼 수 있다. 여기서 베이란 건축용어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. (개발 용어 중 상당 부분이 건축용어에서 온 ..

#2 데이터 백업 기획 1

데이터 공유 및 관리를 위한 방안을 생각해보았다. 일단 목적 및 요구사항을 정리해보려 한다. 요구사항 1. 스마트폰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백업을 한다. 2. 백업된 데이터를 최대한 편안한 방식으로 PC에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. 3. 장기적으로 동작해야 한다. 4. 장기적으로 경제적이어야 한다. 5. 추후 다른 서비스에 활용 가능하도록 확장성이 있으면 좋겠다... 분석 및 현황 파악 스마트폰 데이터를 자동으로 백업하기 위해서는 역시 인터넷을 통한 클라우드 업로드가 좋을 것 같다. 일단 데이터 무제한 요금을 사용 중에 있고, 와이파이도 잘 돼있는 곳에서 생활을 하기에 통신요금 문제는 없을 것 같다. 구글 드라이브 같은 곳에 우선 자동 동기화를 통해 데이터를 백업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. 문제는 구..

#1 프롤로그

기기간 파일공유는 귀찮은 작업이다. 이 부분을 자동화 및 프로세스 커스터마이징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. 어린 시절에 특정 게임을 공유받은 적이 있다. 옆집 형이 다수의 플로피디스크를 사용해서, 본인 PC의 게임을 내 PC로 옮겨줬었다. 초등학교 시절에는 CD를 구울 수 있는 친구 집에서 각종 게임, 영화, 만화책 등을 구워서 공유를 했던 기억이 있다. 당시 CD-R과 CD-RW의 차이를 배웠었다 ㅋㅋ 중, 고등학교 시절에는 용돈으로 USB를 구입해서 그 당시 대용량 게임 파일들을 친구들과 공유했었다. 이 당시 쓰던 128MB USB는 아직도 소장하고 있다 (수년 전까지, 은행 공인인증서 보관용으로 사용했었다 ㅋㅋ) 당시 전자사전, MP3, 핸드폰에 콘텐츠를 넣기 위해서 SD카드 리더기도 많이 ..

반응형